장애인활동지원제도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적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을 위한 지원 서비스입니다. 이 제도는 장애인의 자립적 생활을 지원하고 가족의 돌봄 부담을 경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 그 중 하나인 활동지원 급여는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재정적 지원을 제공합니다. 그럼 장애인활동지원 급여의 월 한도 계산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장애인활동지원 급여 개요
장애인활동지원 급여는 장애인의 실제 필요에 따라 지급되며, 이는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. 이 제도는 6세 이상 65세 미만의 등록 장애인에게 지원되며,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결과에 따라 수급 자격을 판별합니다.
장애인활동지원 급여 월 한도 계산법
활동지원 급여의 월 한도액은 수급자의 종합 평가 점수에 따라 나뉘어 있으며, 점수가 높을수록 지급 가능한 금액도 증가합니다. 한도액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.
- 1구간: 465점 이상 – 7,754,000원
- 2구간: 435점 이상 ~ 465점 미만 – 7,269,000원
- 3구간: 405점 이상 ~ 435점 미만 – 6,785,000원
- 4구간: 375점 이상 ~ 405점 미만 – 6,301,000원
- 5구간: 345점 이상 ~ 375점 미만 – 5,816,000원
- 6구간: 315점 이상 ~ 345점 미만 – 5,332,000원
- 7구간: 285점 이상 ~ 315점 미만 – 4,845,000원
- 8구간: 255점 이상 ~ 285점 미만 – 4,362,000원
- 9구간: 225점 이상 ~ 255점 미만 – 3,878,000원
- 10구간: 195점 이상 ~ 225점 미만 – 3,393,000원
- 11구간: 165점 이상 ~ 195점 미만 – 2,909,000원
- 12구간: 135점 이상 ~ 165점 미만 – 2,424,000원
- 13구간: 105점 이상 ~ 135점 미만 – 1,940,000원
- 14구간: 75점 이상 ~ 105점 미만 – 1,456,000원
- 15구간: 42점 이상 ~ 75점 미만 – 971,000원
- 특례: 42점 미만인 기존 수급자 – 762,000원
본인 부담금 및 지원 내용
본인 부담금은 수급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. 기본적으로 생계 및 의료급여 수급자는 본인 부담금이 면제되며, 차상위 계층은 정액으로 정해진 금액을 부담하게 됩니다.
지원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포함됩니다:
- 활동보조: 신체활동, 가사활동 및 이동 보조
- 방문목욕: 전문 요양보호사가 가정에서 목욕 서비스 제공
- 방문간호: 의사의 지시에 따라 간호 및 요양 서비스 제공
신청 절차 및 필요 서류
장애인활동지원 급여를 신청하려는 경우, 먼저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장애등록 현황 증명서
- 본인 명의 통장 사본
- 신청서 및 개인정보 동의서
신청이 완료되면 국민연금공단의 방문 조사를 통해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가 실시되며, 이후 수급 자격 및 활동지원 등급이 결정됩니다.

가족급여의 도입
최근 정부는 최중증 발달장애인과 희귀질환자를 위한 가족급여 제도를 한시적으로 도입했습니다. 이 제도는 가족이 장애인을 돌보는 상황에서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 이를 통해 장애인과 그 가족이 직접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,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.
마무리
장애인활동지원 급여는 장애인과 그 가족에게 중요한 지원 체계입니다. 활동지원 혜택을 통해 장애인은 보다 자립적이고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으며, 가족의 부담까지 덜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.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.
자주 찾으시는 질문 FAQ
장애인활동지원 급여는 어떤 경우에 신청할 수 있나요?
장애인활동지원 급여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로 인해 일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6세 이상 65세 미만의 등록 장애인이 필요로 할 때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자립적인 생활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활동지원 급여의 지급액은 어떻게 결정되나요?
활동지원 급여의 지급 금액은 수급자의 종합 평가 점수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. 점수가 높을수록 받는 금액이 증가하며,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.